사회생활을 시작한 뒤 은행에 가면 꼭 만들라고 추천하는 것이 주택 청약 종합 저축입니다. 흔히 '주택 청약'이라고 줄여서 부르는데요. 특히 몇 년 전부터는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저축이라고 해서,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들에게 우대 사항이 적용되는 상품이 있어 가입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다만 청약에 당첨되기 전에 이 상품을 해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저 같은 경우에도 최근에 고민 끝에 이 상품을 해지하게 되어서 해지 시 필요한 서류 및 주의할 점들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이라는 상품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 상품 종류 : 절세 상품, 주택 청약 상품
- 가입 대상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직전 연도 연 소득 3천6백만 원 이하이고 다음 세대주 요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 ① 무주택인 세대주 (3개월 이상 세대주일 것)
- ② 무주택자이고 가입일로부터 3년 이내 세대주 예정자 (3개월 이상 세대주가 될 것
- ③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재된 본인, 배우자 및 (조) 부모와 자녀가 모두 무주택인 자
- 가입 기간 : 입주자로 선정 시까지
- 적립 금액 : 월 2만 원 ~ 50만 원
이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링크는 우리은행 홈페이지인데, 웬만한 은행에서는 다 이 상품을 취급하고 있으니 본인이 편한 주거래 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출처 : 우리은행 홈페이지 https://svc.wooribank.com/svc/Dream?withyou=HBHSS0042&cc=c011839:c009166 )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해지 시 필요 서류
다만, 급하게 목돈이 필요하거나 청약 당첨 전에 주택을 매입하게 되어 이 상품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주택 청약 저축을 해지할 수도 있는데요. 해지 시에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과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입니다. 특히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가 필요한지는 모르시는 경우도 많을 텐데, 헛걸음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정부 24에서 온라인 발급 가능하며, 오프라인으로는 관할 구청, 주민센터 등에서도 가능합니다. 발급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 :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13100000084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시, 저 같은 경우는 구청에서 무인민원발급기로 발급하였으며(수수료 500원) 직전 연도 이전 5년 치를 발급받을 수 있었습니다(2017년-2022년). 아마도 주택 취득세나 종합부동산세 등 주택 구입을 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로 보이는데, 이 서류를 왜 필요로 하는지는 정확히 듣지 못했습니다.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해지 시 주의할 점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을 중도 해지 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청약권이 상실된다는 점은 다들 아실 것 같고요. 이 상품의 메리트 중 하나인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이전에 이 상품으로 연말정산 세액 공제를 받은 적이 있다면 공제받았던 세금을 그대로 돌려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이 상품에 가입한 후로 매년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아왔기 때문에, 저축한 원금에서 세금을 깎고 돌려받았습니다. 세액 공제 혜택을 받으셨던 분들은 이러한 부분도 신중하게 생각하셔서 해지 여부를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이번에 부동산 매입을 하게 되면서 청약 저축의 메리트가 없어졌고, 현금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 부분을 감수하고 해지를 진행했습니다. 결국 해지 시점에서는 원금조차 모두 돌려받지는 못했네요. (이전에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은 것이니 그게 그거지만요)
하지만 먼 미래라도 청약을 넣을 여지가 있고, 단순히 목돈이 필요하신 상황이라면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담보로 대출이 가능하니 이 부분도 염두에 두시기를 바랍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담보 대출에 관한 간략한 사항은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담보 대출
- 대출 가능 범위 : 청약 저축 통장의 납입 금액의 95% 범위 내에서 대출이 가능
- 적용이율 : 연 5.75% (마이너스통장으로 약정 시 0.5% 가산 → 연 6.25% 적용)
- 신청 방법 : 인터넷, 폰뱅킹을 통해서는 대출 신청이 불가능. 예금주 본인이 청약저축통장과 주민등록증을 준비해 가까운 영업점 방문
(출처 : 국민은행 인터넷뱅킹 홈페이지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9774&boardId=685&articleId=703&bbsMode=view#loading )
이렇게 주택 청약 종합 저축 해지 시 주의할 점, 필요한 서류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경제생활에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라며, 실속 있는 포스팅으로 또 찾아뵙겠습니다.